1. 금리 비교
제1금융권: 연 3~7% (신용등급 1~4등급 기준)
제2금융권: 연 7~20% (저축은행 8~12%, 캐피탈 12~18%)
우대금리: 제1금융권은 급여이체, 카드실적 등으로 최대 0.5% 감면 가능
제1금융권에서는 주거래 은행의 급여이체, 카드 이용 실적을 쌓으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KB국민은행은 급여이체 시 연 0.3% 금리 할인을 제공합니다. 제2금융권은 추가 서류(재직증명서 등)로 신뢰도를 높이면 금리 협상이 가능합니다.
2. 대출 한도
제1금융권: 최대 2억 원, 소득의 1~2배 내외
제2금융권: 최대 1억 원, 신용등급 및 부채비율(DSR) 기준
제한: 제1금융권은 DSR 40% 이내, 제2금융권은 50~60%까지 허용
구분 | 제1금융권 | 제2금융권 |
---|---|---|
대출 한도 | 최대 2억 원 | 최대 1억 원 |
평균 금리 | 3~7% | 7~20% |
DSR 제한 | 40% 이내 | 50~60% |
3. 심사 기준
제1금융권: 신용등급 5등급 이상, 안정적 소득, 낮은 부채비율
제2금융권: 신용등급 7등급 이상, 소득증빙 완화, 부채비율 유연
심사 기간: 제1금융권 3~7일, 제2금융권 1~3일
제1금융권은 신용점수 700점 이상, 연소득 3,000만 원 이상이 유리합니다. 제2금융권은 소득증빙이 어려운 경우, 재직증명서나 부동산 소유 증명을 추가로 제출하면 심사 통과 확률이 높아집니다. 뱅크샐러드 같은 비교 플랫폼을 활용해 미리 한도를 조회하세요.
4. 필요 서류
제1금융권: 신분증, 소득증빙(급여명세서, 원천징수영수증), 재직증명서, 주민등록등본
제2금융권: 신분증, 소득증빙(선택), 계좌 정보, 간혹 재직증명서
특이점: 제2금융권은 무직자, 주부도 신분증만으로 신청 가능 상품 존재
제1금융권은 소득증빙 서류를 최신(최근 3개월)으로 준비해야 심사가 빠릅니다. 제2금융권은 서류가 간소화된 상품을 선택하면 당일 대출도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SBI저축은행의 스피드론은 신분증만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5.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정의
제1금융권: 은행법 적용, 시중은행(KB국민, 신한), 특수은행(산업은행), 인터넷은행(카카오뱅크)
제2금융권: 은행법 미적용, 저축은행(SBI), 캐피탈(KB캐피탈), 카드사, 새마을금고
특징: 제1금융권은 낮은 금리, 엄격한 심사. 제2금융권은 높은 금리, 유연한 심사
6. 자주하는 질문(FAQ)
7. 참고사이트
최근 글



